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실현을 위한 과제 ③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유형과 방안
뉴스일자:2015-05-15 11:38:58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추진유형 예시도/자료=urban114]

 

사업방식의 종류: 전면개발방식·블록단위 개발방식·특정시설 건축방식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의 추진방식은 전면개발방식, 블록단위 개발방식, 특정시설 건축방식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전면개발방식은 전체 부지를 매입 및 개발하여 단지 내 토지이용, 기반시설, 지원시설 등을 단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다. 블록단위 리모델링 방식은 전면개발방식에 의한 사업추진이 곤란하거나 블록단위로 개발할 때 유용한 방식으로 주로 산업단지 내 지원시설 등에 대한 수요가 풍부하고 개발이익이 충분할 때 민간자본 투자만으로 추진이 기능한 산업단지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특정시설 리모델링 방식은 단지 내 특정 지역의 부지를 활용하여 리모델링 계획에 따라 기반시설이나 건물을 건축하는 사업으로 전면 혹은 부분 재개발이 어렵지만 특정한 기능 혹은 시설의 도입을 통해 산업단지 및 입주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대상으로 한다. 이 방식은 개별 산업단지가 안고 있는 특수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 기능과 시설의 조합을 통해 비교적 짧은 기간과 적은 비용으로 단지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정시설 리모델링 방식은 입주기업체의 휴·폐업 부지를 활용하여 수익성 위주의 사업을 추진하고, 공공성 있는 기업지원시설을 확충하는 경우 정부보조방식의 사업추진도 필요하다.

 

사업추진 방안: 단지 기반시설 정비·업종고도화·기업지원시설 확충·문화복지시설 정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모델링 사업은 단지 기반시설 정비, 업종구조고도화, 기업지원시설 확충, 문화·복지시설 정비 등의 사업으로 구분하여 추진할 수 있다.

 

[리모델링 사업의 사업화 대상 및 주요사업 내용/자료=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

 

단지 기반시설 정비사업은 교통수요 관리방안, 교통운영체계 개선, 도로확장 및 교차로 기하구조 개선 등의 도로정비사업과 공장별 주차시설, 야외 노면 주차시설, 주차타워 등의 주차장 등 교통시설 확충사업, 셔틀버스 지원사업 등이 있다.

 

업종고도화사업은 기업이전에 따른 이전적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산업단지의 슬럼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계획적 개발을 유도하는 특화산업 집적화단지 조성사업과 가격·기술 측면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업종들을 대상으로 신기술 공정혁신, 지식기반·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업종전환을 유도하여 전체적인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업종전환사업, 산업단지 내 기존 기업이나 연구소, 인근 대학 등이 보유한 신기술이나 차업기업의 보육장소 제공을 위한 창업 및 기업유치사업, 산업단지와 대학을 공간적으로 통합하고 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R&D-인력양성-고용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산학융합지구 유치사업, 산단 내 기업을 중심으로 대학, 연구소와의 R&D 클러스터 협력 강화를 위한 산학연협의체 구성사업이 있다.

 

기업지원시설 확충사업은 첨단업종 유치, 기업 비즈니스 활동지원, 시제품 개발·생산, 공장 스마트화 등을 통합 지원하여 기업에 종합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근로환경개선 및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산단혁신지원센터사업과 첨단 중소기업 및 벤쳐기업, 신규 창업기업의 원활한 집적화를 위해 경제성 있는 입지공간을 제공하는 지식기반산업집적시설 건립사업, 현재 업종으로는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 업종전환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정혁신을 지원하고 혁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종전환지원센터 설치사업, 원활한 물류시설, 장비 및 인력의 적절한 투입으로 효율적 물류활동을 유도하는 물류시설 확충 및 개선사업이 있다.

 

문화복지시설 정비사업은 단지 내 종사자들의 육아에 대한 보육시설 건립사업과 종사자 기숙사 건립사업, 종사자 및 이용자의 생활이 영유되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조화 및 환경 친화적 산업단지로의 전환 유도를 위한 생태공원 조성사업이 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