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하부 공간을 이용한 도시 재생과 공공 디자인 ④

고가 하부 공간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뉴스일자:2015-08-27 10:27:07

[고가 하부 공간 활용 사례 이미지/자료=urban114]

 

도시의 고가도로 하부 공간은 도로의 중앙에 접하여 안전성 및 접근성 확보가 취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소음, 진동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적 제약을 피할 수 없다. 때문에 유동인구의 유기적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고 머무름을 위한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무관심과 방치로 인하여 오히려 주변 환경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시행되었던 국내의 고가도로 하부 공간의 재활성화 사업의 경우 해당 공간에 한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혹은 시각적 이미지 변화를 주어 공간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하거나 철거 후 개발을 통해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등 일방적인 계획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이다.

 

공간의 새로운 활용성에 따른 일시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단순한 용도로 활용되게 되면 재슬럼화에 대한 걱정이 함께 수반된다. 즉, 공간 재생에 있어서 복합적인 활용도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공간적 프로그램을 통한 지속가능항 공간 활용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경적·문화적·사회적 재생 측면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심 속 유휴공간이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시민의 실제 요구를 우선시하고, 공간의 일상적 사용가치를 교환가치보다 우선시하는 도시로 재생되어야 한다.

 

[고가 하부 활성 방안/자료=urban114]

 

◆ 기반시설 입체화= 고가도로 하부 공간은 도심 내 경관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기존의 기반시설에 복합적인 기능성을 형성하면서도 미관적인 요소 또한 중요시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입체화와 미관적인 쾌적함을 통해 지역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하부 공간은 상부를 지탱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관리·활용될 수 있는 공간적 기능이 필요하다. 기존시설들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을 부각시키며, 복합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용함으로써 공간을 입체화시킬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선진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능·용도의 관계와 주변 환경 속에서 미관적인 접근성이 중요하다. 상호 유기성, 혹은 특정한 오브제로 입체화시킴을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 경관의 질을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는 공간에 새롭거나 혹은 주변과 관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공간적 친밀감을 유도할 수 있다.

 

◆ 공간 커뮤니티 형성= 고가도로 하부 공간과 그 지역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위해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간과의 연계될 수 있는 관계형성을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공간의 활성화는 다양한 사람들의 행위를 수반하게 되며 다양한 행위는 타인을 끌어들여 또 다른 행위를 유발하게 되고 이는 지역적으로 확장되고 연계되어 문화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개인이나 공동체, 혹은 공공의 참여를 유발하게 됨으로써 이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더군다나 최근 도시 재생의 주요 핵심으로 공간의 시간과 역사성을 살리며 거주민들의 삶에 녹아들 수 있는 가치의 문화예술 공간과 주민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회기반 공공시설 확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내재적으로 공간의 활용성과 다양성을 중요시 여긴다면 외재적으로 공간의 연계성과 참여성을 중시하여 주변지역과의 지속성을 유지해줌으로써 더욱 복합적인 도시 내 공동체 생활을 형성할 수 있다.

 

◆ 공간 아이덴티티 부여= 고가도로 하부 공간의 잠재적 특성을 활용하여 지역 내 고유한 공간을 부각시켜 지역의 랜드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사람들이 친밀하게 인지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재생 사업을 통한 이미지 창출 및 효과는 뚜렷한 대외적 이미지를 지니지 못한 지역적 성격을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고가도로 하부 공간의 재생을 통하여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지역 고유의 문화를 담고 있어야 하며, 그 지역에서만 느낄 수 있는 독특한 연출이나 다수에게 상징적인 메시지로 기억을 보존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창출한다면 고가도로 하부 공간이 의미 있는 도시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고, 도심 주변 지역이었던 공간이 중심지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지역적 특색과 지역 인구의 성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개밤함으로써 문화적 특수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적극적인 소통을 확대하여 새로운 방안을 지속적으로 변경해 나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