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4명 중 1명은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교통약자’로 나타났다. 이들은 여객선, 버스정류장, 터미널시설 이용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통약자의 이동이 가장 편리한 지역은 8대 특별·광역시 중 서울시가 꼽힌 반면, 울산시·세종시·대전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민 4명 중 1명은 교통약자
국토교통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8개 특별·광역시만을 대상으로 했다. 교통약자 실태조사는 5년마다 전국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나머지 해에는 8개 특별·광역시와 9개 자치도를 번갈아가며 실시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우리나라 교통약자 인구는 전체인구의 약 28.9%인 1496만 명으로 2016년보다 약 25만 명 증가했다.
교통약자 유형별로는 고령화 증가추세에 따라 고령자(65세 이상)가 736만 명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49.2%)을 차지했다. 이어 어린이(21.7%), 영유아동반자(17.2%), 장애인(9.2%), 임산부(2.7%) 순이었다.
매일 지역 내(시·도) 외출을 하는 비율은 일반인 32.5%, 장애인 32.0%, 고령자 13.9%, 임산부 3.9% 순으로 낮았다. 지역 간 외출 빈도(월평균 1회 이상)는 일반인 36.0%, 고령자 23.6%, 임산부 14.5%, 장애인 13.1%로 나타났다.
지역 내 외출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일반인(54.3%)과 임산부(58.9%)는 버스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나, 고령자는 지하철(46.4%)의 빈도가 높았고, 장애인은 버스(24.6%)와 지하철(22.4%)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이동 시 주요 교통수단은 승용차가 가장 높았고, 일반인(13.8%)과 고령자(32.8%)는 고속(시외)버스, 장애인은 기차(22.7%)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8대 특별‧광역시 평균 78.3%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5.2%p 증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상별로는 버스·철도 등 교통수단이 82.0%, 터미널·철도역사 등 여객시설이 74.9%, 보도·육교 등 도로(보행환경)이 78.0%로 각각 조사됐다. 기준적합 설치율은 도시철도(94.2%)가 가장 높고, 철도(93.3%), 버스(90.7%), 항공기(79.9%)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10년이 넘는 노후 선박이 대부분인 여객선(52.0%)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복지 1위 서울, 울산 ‘꼴찌’
한편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률, 저상버스와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교통약자 관련 사고, 교통복지행정 수준 등 9개 교통복지지표를 토대로 지자체별 교통복지수준을 평가한 결과, 8대 특별·광역시 중 교통약자들의 이동이 가장 편리한 곳은 서울특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에 따르면 서울특별시의 교통복지수준은 보행환경, 저상버스 보급률, 교통복지행정 등에서 종합점수 81.6점의 평가를 받아 2016년도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2위는 81.2점을 받은 인천이었고, 67.1점을 받은 부산은 3위에 올랐다.
반면 8위 울산광역시는 54.1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세종도 59.8점으로 7위, 대전광역시도 62.5점으로 낮은 순위를 보였다.
울산광역시는 여객시설 주변 보행환경 기준적합 설치율, 저상버스 보급률 등에서, 세종특별자치시는 특별교통수단 이용률, 교통복지행정 등에서, 대전광역시는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고령자·어린이 안전도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교통사업자 등 관련기관에 시정을 요구하고, 개선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항공 등 전년 대비 기준 적합률이 하락한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여객자동차터미널 등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인증사업을 통해 시설을 개선토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