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이궤도를 돌고있는 천리안위성 2A호. 정지궤도 안착에는 1~2주가 걸릴것으로 보인다./자료=기상청]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국내 기술을 중심으로 개발된 정지궤도위성 천리안위성 2A호가 현 시점에서 정상적 운행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3번째 정지궤도 차세대 기상 센서 보유국이 됐다.
기상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정지궤도복합위성 2A가 이날 오전 5시 37분(현지 기준 4일 17시 37분)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이후 5일 오후 2시 30분에도 천리안 2A는 정상적 과정을 밟아나가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도시미래>와의 통화에서 “현재 천리안 2A의 모든 것이 정상이라고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현재는 최종 목표궤도인 정지궤도의 전단계인 ‘전이궤도’를 돌고 있다. 정지궤도인 고도 3만6000km까지 평균 1주~2주가 걸린다. 5번 정도 연료 분사를 하면서 고도를 계속 높여가게 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천리안위성 2A호는 세계최고수준의 기상관측 탑재체를 이용해, 천리안위성 1호에 비해 해상도가 4배 향상된 고화질 컬러 영상을 10분마다 국가기상위성센터 등 지상에 전송하게 된다. 위험기상 시에는 2분마다 영상을 보낼 예정이다.
발사 34분 후 고도 약 2340km 지점에서 아리안-5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됐고, 이어 5분 뒤인 오전 6시 16분(현지기준 18시 16분)에는 호주 동가라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초기운영 기간 동안 위성과 24시간 교신을 유지하기 위해, 4개의 해외 지상국인 이탈리아 Fucino, 호주 동가라 WASC, 칠레 Santiago, 미국 하와이 South Point를 연계‧활용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천리안위성 2A호의 본체 시스템 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고,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는 최초의 타원궤도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
천리안위성 2A호는 향후 약 2주간 5회의 위성엔진 분사과정을 거쳐 전이궤도에서 목표고도 3만6000km의 정지궤도로 접근해 나갈 계획이다. 정지궤도 안착 후에는 약 6개월간 궤도상 시험 과정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격적인 기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