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국토부, 도시자원 순환기술 개발 성공

도시 폐기물 한 곳서 복합처리…환경·에너지 문제 동시 해결 기대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1-04-05 09:54:5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국토부는 5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도시자원 순환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기술 개요도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생활쓰레기,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등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폐기물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도시자원 순환형 복합 플랜트 건설기술(이하 도시자원 순환기술)‘을 개발했다.

 

도시자원 순환기술은 환경기초시설과 에너지 생산·공급시설을 연계하여 생활․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3종의 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 할 수 있는 복합 플랜트 기술이다. 

 

‘도시자원 순환기술’은 광역단위 분산형 도시에너지 수급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한국형 저탄소 도시 모델의 핵심적인 기술로써, 시운전을 통하여 성능검증까지 완료하고 운영기술까지 확보한 점과 핵심 설비(수열탄화, 건조, 소각)를 국산기술로 개발하여 기술 수준을 선진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지난 2016년 6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국토부 R&D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고등기술연구원(주관기관), GS건설 등 12개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개발에 참여하였다.

 

그간, 도시 폐기물은 종류에 따라 개별 시설에서 각각 처리하는 방식으로 경제성과 에너지 효율성이 낮고 해당 시설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악취 등으로 인하여 민원이 지속 제기됐다.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여러 종류 폐기물을 한곳에 모아 복합플랜트를 거쳐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어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도시자원 순환기술‘ 실증시설은 3가지 폐기물을 동시에 운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수도권매립지내 설치하여 인근 드림파크CC 클럽하우스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실증을 거쳤다.

 

‘도시자원 순환기술‘로 만들어진 복합플랜트를 통해 드림파크CC 클럽하우스에 에너지를 공급한 결과, 연간 3억3000만원의 에너지 비용절감 효과를 거두었고, 3가지 폐기물을 각각 처리하는 비용대비 30%의 처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7000가구(인구 2만명 기준)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생활쓰레기 14톤, 음식물쓰레기 4.8톤, 하수슬러지 3.8톤 등 폐기물 22.6톤을 활용하면 550가구의 에너지 자립이 가능하고, 연간 2,466톤의 온실가스(CO2) 배출을 저감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이상주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앞으로 환경기초시설들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규모 분산형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기피시설로 여겨졌던 과거와 달리,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에너지 공급시설로 사용하고 지상공간은 다양한 편의시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도시혁신, 스마트시티 조성, 신도시 건설 등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해외 수주 활동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