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우리 손으로 이뤄가는 ‘우리가 꿈꾸는 도시재생 이야기’

도시재생 주민역량강화사업 사례집 「우리가 만드는 우리동네」발간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1-07-22 10:57:24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우리가 만드는 우리동네」 사례집 표지 <출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함께 도시재생 주민역량강화사업 17개 팀의 이야기를 담은 사례집, 우리가 만드는 우리동네를 발간했다.

 

도시재생 주민역량강화사업은 주민이 직접 지역의 문제를 발굴해서 해결하거나 소규모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통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7년부터 시작하여 2020년까지 총 193개 팀을 공모로 선정,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했다. 올해부터는 지자체가 소규모 점 단위에서 사업발굴과 실행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선행 사업인 도시재생예비사업으로 통합됐다.

 

이번에 발간하는 사례집은 현재 주민역량강화사업을 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지자체와 주민들이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사업을 보다 내실 있게 추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발간됐다.

 

사례집에는 202017개 팀의 활동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한편, 지난 4년간 추진했던 주민역량강화사업의 통계 등 관련 정보들과 2019년에 참여했던 3개 팀의 활동현황 등도 간략하게 소개됐다.

 

전북 무주군 설천면에서 운영 중인 참새와 방앗간은 귀농귀촌지역의 주민이 다수 참여하며, 지역의 잉여 농산물()을 이용하고 지역의 수요(농번기 새참 등)를 충족할 수 있는 먹거리(‘구천동 쌀빵’)를 개발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강원 횡성군 횡성읍의 구리고개 주민협의체는 고령자 주민이 많은 지역에서 공가와 폐가의 방치로 마을 주거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을 주민들이 함께 인식하고, 마을청소나 골목정원 조성 등 실천 가능한 일부터 추진하는 등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전북 익산시 남중동의 시청 앞 사람들은 시청 근처 상인 중심으로 구성된 팀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아이템인 지역 특산품(고구마, )서동왕자와 선화공주설화를 활용한 먹거리(마마 MAMA 레시피)를 개발하고 있다.

 

한편, 사례집에서는 주민역량강화사업을 통하여 주민팀의 조직과 주민팀이 추진했던 사업의 성장 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들도 담겼다.

 

우선 2020년 팀(17)의 경우, 공모에 신청할 때에는 주민모임이 조직유형 대다수(14)를 차지했으나, 1년 후에는 일부 팀들이 협동조합, 비영리민간단체 등으로 발전했다. 또한 사업 측면에서는 역량강화사업 후, 도시재생예비사업으로 6,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3, 지자체 지원사업으로 3개 사업이 연계되어 후속사업이 진행되는 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4년간(2017~2020) 참여했던 전체 193개 팀을 놓고 볼 때, 46개 팀의 조직이 성장했고, 116개의 사업이 도시재생뉴딜사업 등으로 연계돼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2019년 사업에 참여한 이후 현재까지 주민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대구 달성군 설화리 설화리 핵인싸 추진모임’, 경북 성주군 별의별, 전북 전주시의 물왕멀 공동체이야기도 사례집에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 사례집은 전국 지자체(도시재생지원센터)에 배포되어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에게 공유될 예정이며,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누리집(www.city.go.kr)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오공명 국토부 도시재생역량과장은 도시재생사업의 목표는 지역 공동체가 주도해 지역 주민들과 그 생활 터전이 활력을 되찾는 것이라며 이번에 발간하는 사례집을 통해 현재 각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 주민역량강화 사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