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지하철 엘리베이터? 파란색 바닥띠만 따라가세요”

서울교통공사, 지하철역 승강기 위치 알리는「세이프로드」도입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2-12-27 18:00:2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역 승강기 위치 알리는「세이프로드」를 도입했다. <출처 : 서울시>

 

서울 지하철에 엘리베이터 위치를 알기 쉽게 안내하는 군청색 바닥 띠 세이프로드가 도입된다. 어르신장애인 등 교통약자 및 외국인 이용객의 승강기 이용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교통공사는 행정안전부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함께 서울 지하철 내 주요 9개 역에 안전사고 예방과 휠체어 이용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엘리베이터 이용유도 안전동선 세이프 로드’(이하 세이프로드’)를 지난 12일부터 22일까지 설치했다고 밝혔다. 9개 역에 설치된 바닥 띠의 길이는 2.5km에 이른다.

 

지하철 역사 내 엘리베이터 위치는 통상 종합안내도 및 벽면천장 표지판 등을 통해 안내해 왔다. 그러나 표지판이나 지도가 있는 위치를 이용승객이 직접 찾아야하기에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해 공사는 작년부터 이런 이유로 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이용 안내가 필요하다는 내외부의 의견을 반영하여 엘리베이터 맞춤형 위치안내 포스터(1,800)스티커(156개 역 502)를 부착한 바 있다.

 

세이프 로드는 포스터와 스티커보다 더욱 눈에 띄며 직관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안내 방식이다. 지하철역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환승띠나 고속도로 등 각종 도로 바닥에 부착된 출구 유도선, 다양한 공공기관의 편의시설 이동선 등 이용객을 유도하는 선형 부착물을 엘리베이터 위치 안내에도 활용한 것이다. 도시철도 업계 최초로 추진하는 것이기도 하다.

 

세이프로드는 엘리베이터의 주 이용객인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부착 대상 역은 어르신휠체어 이용객 등 교통약자 및 환승인원이 많은 곳을 선정하였으며, 휠체어를 이용해 역 바깥부터 열차 탑승환승까지 실제 이동 가능한 동선을 선정하여 띠를 부착했다.

 

한편 세이프로드의 시안 선정과정에서 기존 바닥에 있는 환승띠와 혼선이 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고려했다. 기존 수도권 도시철도 노선 색을 분석한 후, 4가지의 후보색상을 선정했다. 다음으로는 색약자도 유사하게 인식할 수 있는 색을 선정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색약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군청색과 회색을 최종후보군으로 선정했으며, 실제 인쇄물을 통해 역사 바닥과의 배색, 오염에 강한 정도를 고려하여 최종 군청색으로 선정했다.

 

또한 어르신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글씨 크기 확대, 외국인이나 어린아이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영어와 그림 안내(픽토그램) 삽입 등 시안 설계과정에서 모든 이용객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기능이 포함된 아스팔트 스티커 재질로 제작되어 안전성도 충분하다.

 

그림 안내는 장애인을 고려한 ‘2016년 서울시 공공시설물 표준형 디자인 개발 가이드라인의 국제표준(SPI PH049)형 엘리베이터규격을 준수한다.

 

이번 세이프로드제작에는 그간 지하철 이용 시 교통약자를 위한 의견을 꾸준히 전달해 온 장애인 이동권 협동조합 무의의 지원도 큰 힘이 됐다. 협동조합 무의측은 제작과정에서 장애인 입장에서 지하철 이용 시 필요한 요소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나아가 세이프로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탑승 시 교통약자가 먼저 탑승할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하다는 홍보를 공사와 함께 적극 진행한다는 뜻을 밝혔다.

 

무의는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 환승에 어려워하는 딸을 보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엄마의 노력으로 탄생한 단체다. 2015년부터 장애를 무의미하게라는 구호 아래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해 시민 200여명과 함께 수도권 지하철 60개 역286개 구간의 교통약자 환승지도를 제작한 바 있다.

 

세이프로드설치에 따른 이용객의 반응도 호의적이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주로 이용하는 한 휠체어 이용자는 더이상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에게 엘리베이터 위치를 묻지 않아도 바닥의 띠만 따라가면 되니 매우 편리하다라며 전면적인 설치 확대를 요청하기도 했다.

 

홍윤희 장애인이동권컨텐츠제작 협동조합 무의이사장은 지하철환승지도를 만들 때의 목적은 시민들과 함께 하는 캠페인을 통해 장애를 무의미하게 하자는 것이었다며 세이프 로드 확산을 통해 엘리베이터 우선탑승 에티켓 향상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면서 교통약자의 이동이 편해지는 인식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석호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장은 세이프로드 제작에 많은 도움을 준 행정안전부, 한국승강기안전관리공단 및 무의에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라며 앞으로도 교통약자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울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시민 여러분이 많은 지원과 도움을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