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글로벌 기술 대전환에 대응하고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고자 올해 ‘서울형 R&D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을 투입, 혁신 기술 발굴부터 개발·실증·시장진출까지 전 과정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여기에 전년 367억원 대비 약 12% 늘어난 41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한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미래 선도산업 선점 및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는 R&D 분야 서울시 대표 정책이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2018년부터는 AI·바이오·양자기술·로봇·핀테크·창조산업 등 6대 신성장산업 기술개발과 기업 성장 및 기술 실증 R&D 기술사업화를 중점 지원해왔다.
시는 올해 저비용․고성능 AI 모델 등장을 계기로 초기 기술개발(Pre-R&D)~기업성장 R&D~테스트베드(Post-R&D)까지, R&D 전 분야에 AI 투자를 확대해 ‘AI 3대 강국 도약’의 초석을 놓는 원년으로 삼는다는 각오다.
특히 초기 기술개발 과제를 ▲인공지능(AI) 및 AI 융합기술(AI+X) 과제로 집중 선정 ▲AI R&D 예산 증액(30억 원 → 50억 원) ▲민간투자 및 기술보증기금 연계 R&D에서 AI 과제 30% 이상 선정 등 2025년도 선발 과제 188개 중 절반 이상을 ‘AI 및 AI 융합기술’로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