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공공디자인

서울시, 학교환경개선 컬러컨설팅 사업 5곳으로 확대

뇌파‧감성도 변화, 주의력 40%, 집중력 27% 상승

장희주 기자   |   등록일 : 2015-05-07 10:33:30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주요 시범사업지 우신초등학교 사례/자료=서울시]

 

서울시가 교육청과의 협업으로 지난 ’11년부터 총 12개교에 실시한 「학교환경개선 컬러컨설팅」 시범사업을 학생들의 실제 주의력, 집중력 향상 효과와 학생·학부모·교사등의 높은 만족도에 힘입어 올해 5개 학교로 확대 실시한다고 밝혔다. 「학교환경개선 컬러컨설팅」 사업은 획일적이었던 학교 공간을 학생의 눈높이와 교실 특성에 적합한 색채디자인을 통해 감성을 키우고 학습능률을 높이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다.

 

올해 실시되는 5개 학교는 ▲무학중학교 ▲영림초등학교 ▲신남중학교 ▲신명초등학교 ▲거원중학교로, 디자인 구상 과정에 실사용자인 학생과 교사의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참여디자인’을 본격 도입한다. 

 

시는 지난 4년간 컬러컨설팅을 시범 도입한 결과, 학교 분위기는 물론 아이들의 뇌파와 감성도 변화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우장초등학교(’14년) 2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뇌파변화 검사 결과, 컨설팅을 적용하지 않은 곳과 비교했을 때 주의력은 40%, 집중력은 26%, 휴식력은 21%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감성 변화도 컬러컨설팅을 적용한 공간에서는 ‘우울한’보다는 ‘활기찬’, ‘긴장’보다는 ‘이완’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또 작년 11월 ㈜한국컬러유니버설디자인협회에서 6개교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변화된 학교환경으로 전과 비교해 공격적인 성격이 줄었다(68%)’, ‘친구·선후배 간 싸움이 줄었다(60%)’ 등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아울러, 지난 4년간의 효과와 변화를 공유하고 향후 사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가 지난 2월 개최한 워크샵을 통해 학부모, 교사,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시는 설명했다.

 

연도

학교명

사업대상

2011 

녹천초등학교

 노후로 인한 실내 재도장 

금옥중학교

 교사증축(특별교실, 급식실, 체육관) 

양재초등학교

 교사증축(특별교실, 급식실, 체육관) 

2012 

양서중학교

 교사증축(특별교실, 급식실, 체육관) 

등명초등학교

 노후로 인한 실내 재도장 

영동중학교

 교과교실제 시행에 따른 교사재배치 

2013 

우신초등학교

 노후로 인한 실내 재도장 

길음중학교

 교사증축(특별교실, 급식실, 체육관) 

봉화중학교

 교과교실제 시행에 따른 교사재배치 

2014 

우장초등학교

 노후로 인한 실내 재도장 

성원초등학교

 노후로 인한 실내 재도장 

신수중학교

 교과교실제 시행에 따른 교사재배치 

[사범시업지 선정 현황(’11~’14년)/자료=서울시]

 

한편, 지난 4년간 이 사업을 적용한 12개 학교들은 각 학교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 대상 학교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고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색채디자인 개발을 통해 디자인의 관점에서 교내 환경개선의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시범사업 대상 학교는 환경이 열악해 개선이 시급하거나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학교, 지역주민과의 공동 이용시설 유무 및 학생 교육프로그램과 디자인을 연계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해 시범사업지 선정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선정됐다.

 

심동섭 서울시 디자인정책과장은 “통상 학교에서는 한 번 도색을 하면 15년 정도 길게 유지되는데 색태 디자인이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과 행동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저평가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며 “학교 환경 디자인 개선이 ‘깨진 유리창 이론’ 같이 문제 학생들의 폭력성을 완화시키는 등 심리변화와 행동유발에 영향을 주고, 아이들이 하루에 ⅓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를 꿈꾸고 소통하는 공간으로 진화시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