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노우치 파크빌딩의 외관/자료=일본 Goo]
다이마루유 지구는 공공공간 정비에서 공공과 민간이 주고받기 방식의 적용과 더 합리적인 절차를 통한 추진으로 도시정비 방식의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민간은 각종 인센티브를 통해 시간적인 부담과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게 되었고 공공은 이들의 정비방안을 균형 있게 받아들여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향상된 공공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협의체계 구성을 통해 더 신속하고 일관된 도시정비 방향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구 내 모든 권리자들의 동의하에 도시정비의 원칙, 정비 수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의 지원이 없을 시에도 강력하게 운영됨으로써 지구 내 공공성 증진은 물론, 도시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추진 방안에 있어서는 새로운 사회경제 요구 및 향후 운영관리의 측면의 내용을 포함하여 유연한 운영체제를 전개하고 있다.
다이마루유 지구에서 공공은 용적률 인센티브와 관련법 개정을 통해 민간의 투자를 유도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지만, 모든 경우에서 이와 같이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다이마루유 지구는 민간협의회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간담회가 뒤따라가는 식의 협의과정 때문에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선진적 도시정비를 위해 공공은 민간이 제시하는 개발방향에 대해 엄중히 심사하고, 인센티브 측면에서도 가이드라인 및 세부 규칙에 근거하여 원칙에 맞게 허용해야 하며, 공공고이 더욱 적극적으로 주도하여 민간과 협의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도시의 정비를 이끌어내야 한다.
다이마루유 지구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한 기업은 최대 지권자인 미쓰비시지쇼이다. 다이마루유의 개발방향에서 민간 디벨로퍼가 가지고 있는 도시개발 이념과 사회공헌헌장은 지구 정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미쓰비시지쇼는 저탄소사회 형성에 기여, 환경 및 자연조화형 사회 형성에 기여, 환경커뮤니케이션 추진, 환경친화적 사람만들기 방침에 따라 지구의 개발을 추진하였고 이를 사업과 연계시켜 도시를 정비하였다. 따라서 사업에 참여하는 민간업체의 사회공헌활동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도록 공공에서 다양한 참여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의 재개발의 경우도 사업단위의 추진조직만이 아닌 민간·공공·전문가·시민이 함께 참여하며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협의체를 조직하고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해 제도적 범주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