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중앙동 일대 모습/자료=전주시]
전주시가 서부 신시가지 개발과 공공기관 이전 등으로 침체된 원도심에 활기를 불어넣을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을 본격화한다. 시는 전주부성을 중심으로 중앙동, 풍남동, 노송동 일원을 대상으로 한 ‘전주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의 총괄코디네이터가 임명됨에 따라 활성화계획 수립, 주민 의견수렴 등 후속조치에 나설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총괄코디네이터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재생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행정기관, 주민·상인협의체, 사업시행 주체 등 이해당사자 간의 의견을 조정하게 된다. 또, 이를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및 사업추진에 반영하는 등 사업 전반에 걸친 방향 설정 및 조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업 성격에 따른 계획 및 설계용역 등의 발주방식과 과업지시서 등을 검토해 의견을 제시하고, 도시재생사업의 단위사업별 실행계획 작성·수정·변경을 검토해 단위사업 시행을 위한 사업자 또는 시행주체 선정, 다양한 분야의 사업시행을 위한 운영주체 발굴, 사업추진 체계 구축 등 사업추진 전반에 걸쳐 활동을 하게 된다.
‘전주 전통문화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은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전주부성을 중심으로 한 1.37㎢를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선정해 사업비 200억 원을 투자하는 사업으로, 현재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시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해 주민설명회와 의견수렴, 공청회, 시의회 의견수렴, 중앙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말까지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시는 오는 2020년 말까지 ▲공공기관 거점기구 거점강화 사업 ▲감영지구 거점강화 사업 ▲영화의 거리 확산사업 등 연계강화 사업 ▲주민역량 강화 등 지속가능성 확보사업을 주민들의 꾸준한 의견수렴을 거쳐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참여주체들이 도시재생의 목표와 방향을 공유하고 지역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주민역량 강화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상인 등 사업 참여주체 간의 유대관계가 형성돼 공동체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선이 전주시 사회적경제지원단장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주민들과 함께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함께 고민하는 것이 재생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성공적인 전주의 첫 도시재생사업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주민 참여와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