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상계 활성화계획 종합구상도/자료=국토부]
정부가 2021년까지 총 4조 9천억 원을 들여 전국 18곳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서울·부산·춘천 등 전국 18곳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해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원사항을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도시재생 2차 사업지구는 총 17곳으로 도시경제기반형으로 서울·대구 2곳, 근린재생형으로는 부산영도·울산중·충주·전주·안동·김해·서울용산·서울구로·부산중·부산서·부산강서·인천강화·부천·춘천·나주 15곳 등이 선정됐다. 또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도시경제기반형으로 청주가 선정됐다.
이들 지역에는 2021년까지 국가에서 국비 8,918억 원과 기금 1,301억 원 등 총 1조 2백억 원을 지원하게 되며, 지방비 1조 3천억 원과 민간자본 2조 5,600억 원이 더해져 총 4조 9천억 원 규모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도시경제기반형인 서울 창동·상계지구는 창동·노원역 주변의 면허시험장 이전부지, 환승주차장부지 등을 활용한 R&D 특화 기능 유치와 문화시설 조성 등을 통해 신경제중심지 조성을 추진한다. 경제적 활력 창출을 위한 동북권 창업지원센터 건립과 민간참여사업인 창업·문화산업단지 조성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으로 추진되는 부산 영도구는 시청과 상권의 이동으로 쇠퇴한 지역인 봉래동에 문화·기술 융합을 중심으로 활성화를 추진한다. 소상공인 인큐베이팅 공간인 목도 노포(老鋪) 전수방을 조성하고, 지역 산업 브랜드화를 위해 전통산업 재생방 구축사업 등도 진행된다.
일반 근린재생형으로 선정된 강원 춘천시는 캠프페이지가 이전하면서 쇠퇴한 근화동에 소양강과 번개시장을 활용해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역사문화가로를 만들고 전통시장의 역량을 강화해 번개시장 문화장터를 만드는 사업을 추진한다.
손태락 국토도시실장은 “이번에 국가지원사항이 확정된 도시재생 사업지구는 지난 4월에 도입된 관문심사를 통과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 지역”이라며 “이번 특위에 상정되지 못한 2차 도시재생지구 16곳도 올해 상반기 중에 계획을 수립해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