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국토연, 올해 집값 1.3%, 전세 3% 상승 예상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정책효과 전망’

신은주 기자   |   등록일 : 2014-01-15 17:20:57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료=국토연구원] 


2014년 주택가격 1.3%, 전세가격 3% 상승, 주택거래 87만호 내외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토연구원은 15일, '부동산시장 정책효과와 전망 세미나'를 개최하여 부동산정책 효과분석과 2014년 부동산시장 전망 결과 발표에서 이와같이 밝혔다.  또한 부동산시장 정상화 정책으로 주택거래가 증가하고 경제성장에 기여할 것이라 예상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부동산 정책 효과로 2013년 주택거래가 증가하여 총 85.2만호 기록했다. 정책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 추세거래량 대비 2013년 정부정책 효과는 주택거래량 약 10만호이며, 이는 경제성장률 0.1%p 내외 증가에 기여한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14년에는 세제 완화,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 등 최근 입법이 완료된 정책과 금융지원 확대 등으로 주택거래 증가효과 지속을 예상했다. 특히, 정부정책 효과로 택거래량 약 11만호가 증가될 것으로 분석했다. 전년대비 증가요인으로 취득세 영구인하, 양도세 중과폐지 및 단기보유 완화,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 공유형 모기지 확대 등이며, 전년대비 감소요인은 생애최초주택 취득세 면제, 미분양주택 양도세 면제 종료 등을 꼽았다.


또한 연구원은 2014년 주택매매시장 전망에서 경제여건 개선 및 부동산정책 효과로 주택거래가 87만호 내외로 증가하고, 주택가격은 소폭 상승(1.3% 내외) 전망했다. 지방의 경우 입주물량 확대 등으로 수도권(1.5% 내외)에 비해 상승폭이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시장의 경우, 불안요소는 상존하나 전세의 매매전환 증가, 입주물량 확대 등으로 상승폭(3.0% 내외)은 전년에 비해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2014년 부동산시장의 주요 변동요인으로 경제여건 개선 가능성, 부동산시장 정상화 정책효과 가시화 등이 언급됐다. 이에 연구원은 '주택매매시장에서는 상승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요소가 존재하나 입주물량 증가 등 안정요인이 확대될 전망이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임대차시장 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 공급과 임대차시장 구조변화로 늘어난 서민 주거비부담 경감 방안 마련 필요하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