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을 위한 4차 산업혁명
경기연구원은 25일 수도권의 도시환경을 분석하고, 미래의 수도권 공간변화를 예측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도시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9월29일부터 10월19일까지 서울 가로수길, 서촌·북촌, 홍대, 일산 라페스타, 분당 정자 카페골목 등 5곳을 방문해 성인 55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7명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초연결사회에는 핫플레이스와 같이 차별화되고 독특한 장소를 선호(69.1%)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수도권 도시환경의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식기반서비스업과 ICT산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분포도는 대학과 전철역, 핫플레이스, 고학력 인구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하여 직장-주거지간 거리변화를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거지가 핫플레이스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직장의 위치가 주거지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예측했다.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에 의해 직장의 도심 집중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문화적 다양성과 트랜디함이 공존하는 핫플레이스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핫플레이스가 거주지와 가까울 경우 직장을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도시발전방향에 관한 연구보고서/자료=경기연구원]
김태경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기술의 인프라가 집약된 도심보다는 핫플레이스처럼 개성 있고 창의적인 공간에 대한 직장입지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도심’이 아닌 ‘창의적인 장소’를 중심으로 직장과 주거지가 근접하는 ‘직주일치’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도시 발전 방안으로는 경기도형 플랫폼 조성 및 거버넌스 구축, 창의적 인재 및 기업·자본 유인을 위한 문화적 환경 조성, 숙박·주거·사무실 등 공유경제 플랫폼 조성 위한 지자체 차원의 공유공동체 시범모델 개발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지역발전을 위해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산업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창의적 인재 유인을 위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개성 있고 재미있는 창조적 문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