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저소득층 주거안정 위한 임대주택 공급

경기도 주거종합계획안 최종 확정

정희철 기자   |   등록일 : 2018-06-14 09:22:15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5월28일 열린 주거정책심의회/자료=국토교통부]

 

[도시미래=정희철 기자] 경기도가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총 4만2000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13만4000가구에 임차료와 주택개량비를 지급한다. 준공 15년 이상 된 190개 소규모 아파트 단지에 안전점검도 실시한다. 14일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 주거종합계획안을 최종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주거종합계획으로는 △맞춤형 임대주택 지속 공급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및 취약계층 주거지원 강화 △BABY2+ 따복하우스 속도감 있는 추진 △민관 협업을 통한 주택품질 확보·관리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등이 중점과제다.

 

임대주택 공급 분야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총 7개소를 추진해 총 4만2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복지 지원정책으로 광역단위 주거복지센터를 설치하기로 하고 도와 국토부 간 조직체계 마련 및 구체적 설치방안을 논의중이다. 또 주거급여대상자 13만3000가구에는 월 평균 약 13만5000원의 임차료를, 집을 소유한 1000가구에는 최대 1026만 원의 주택개량비가 지원된다.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에너지효율화 주택 개보수사업인 햇살하우징 450호 △민간의 재능기부 주택 개보수사업인 G-하우징 사업 110호 △농어촌 장애인주택 개조사업 38호 △중증 장애인주택 개조사업 100호 등이 추진된다.

 

도는 이외에도 매입임대주택 신규 입주자 중 생계급여 수급자에 해당하는 약 2300가구에 임대보증금을 최대 200만 원 지원한다.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BABY2+ 따복하우스 사업은 신혼부부에 5000가구, 사회초년생·대학생·산단 근로자에 3000가구, 주거약자 등에 2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 2억8000만 원의 예산을 통해 15년 이상된 소규모아파트 190개 단지에 단지별 안전점검을 지원한다.

 

도 관계자는 “서민과 중산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거안정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주거복지비전을 담은 ‘2030 주거종합계획’을 수립, 주거정책심의위원회와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올해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