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최저임금의 역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③

미래의 직업 창출 혹은 소멸

전상배 기자   |   등록일 : 2018-07-31 16:11:10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미국 피자업체 ‘줌피자’가 만든 피자 로봇/자료=줌피자]

 

한국고용정보원은 우리나라 주요 직업 400여개 가운데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등을 활용한 자동화에 따른 직무 대체 확률이 높은 직업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자동화에 따른 직무의 상당 부분이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체될 위험이 높은 직업은 콘크리트공, 정육원 및 도축원,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조립원, 청원경찰, 조세행정사무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직업은 업무 수행에 있어 단순 반복적이고 정교함이 떨어지는 동작을 하거나 사람들과 소통하는 일이 상대적으로 적은 특징을 보이며, 반면에 화가 및 조각가, 사진작가 및 사진사, 작가 및 관련 전문가, 지휘자, 작곡가 및 연주자, 애니메이터 및 문화가 등 감성에 기초한 예술 관련 직업들은 자동화에 의한 대체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정보원은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전에 따른 자동화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영국의 옥스퍼드대에서 미래 기술의 영향을 연구하는 칼 베네딕트 프레이와 마이클 오스본 교수가 제안한 분석 모형을 활용했다.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발전에 따른 자동화에 의해 직무가 대체될 확률이 높은 직업과 낮은 직업은 각 직업이 동작의 세밀함, 공간의 크기, 창의력의 요구량, 예술과의 관련성, 사람과의 협상 및 설득, 서비스 지향성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돼 분석됐다.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직무 대체될 확률이 높은 직업(좌)과 낮은 직업(우) 상위 30개/자료=한국고용정보원]

 

 

이 밖에도 통상 전문직으로 분류되어 온 손해사정인(40위), 일반의사(55위), 관제사(79위)가 자동화에 의한 직무대체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반복적인 저숙련 업무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요구되는 인지적 업무도 인공지능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의미다.

 

대중에게 관심이 높은 연예인 및 스포츠매니저는 313위, 판사 및 검사(306위), 전문의사(338위), 변호사(279위) 등의 순위를 보였다.

 

올해 초 다보스포럼에 나온 ‘직업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화 직무 대체는 2020년 전후에 시작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 반복적인 과업(Task) 중심으로 대체되는 것일 뿐 여전히 중요한 의사결정과 감성에 기초한 직무는 인간이 맡게 될 것이므로 막연히 일자리의 소멸을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중요한 것은 앞으로 인공지능과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여 담당하게 될 직무 영역이 어디까지인지를 사회적으로 합의하는 과정”이라며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열매를 사회 전체가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에 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직무대체 위협 근로자들이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직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게 국가 수준의 생애진로개발 전문가 양성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며 “우리 사회가 인공지능과 로봇을 중심으로 한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려면 교육 패러다임을 창의성과 감성 및 사회적 협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