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최재영 기자] 경기도내 8개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대상지 가운데 6개소 사업이 이르면 9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6일 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달 31일 개최된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에서 경기도내 6개소를 포함한 51개 사업에 대한 국가지원을 결정했다.
현 정부 국정과제로 지정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낙후된 도시 500개 지역을 재생하여 도시로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으로 매년 10조 원씩 5년간 총 50조 원이 투입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원당), 고양(화전), 안양(명학), 안양(박달), 남양주(금곡), 광명(광명5), 시흥(정왕), 수원(매산) 등 8개소가 지난해 12월 시범사업지로 지정되었으며, 이 가운데 사업 착수가 결정된 6개소는 고양(원당), 고양(화전), 안양(명학), 안양(박달), 남양주(금곡), 광명(광명5) 등이다.
활성화 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이들 6개소에는 2022년까지 총 2177억 원(국비 910억 원, 도비 182억 원, 시비 493억 원, 공공기관 사업비 592억 원 등)이 단계별로 지원될 예정이며, 도의회로부터 추가경정예산을 승인받은 후 9월부터 240억 원을 우선적으로 투입된다.
금번 지정된 6개 지역에서는 △소규모주택정비·노후주거지정비·공동이용시설 조성 등을 추진하는 ‘우리동네살리기’(고양 원당, 안양 박달) △골목길정비 등 주거지역 전반을 개선하는 ‘주거지지원형’(안양 명학, 광명 광명5), △주거지역-골목상권 혼재지역에 주민공동체 회복과 상권을 활성화하는 ‘일반근린형’(고양 화전), △중심상권 회복과 문화·예술·역사자산을 연계하여 지역경제를 회복하는 ‘중심시가지형’(남양주 금곡) 등의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수원 매산과 시흥 정왕의 경우 국토부 실현가능성 평가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해 국가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10월까지 활성화계획을 보완해 연말까지 사업에 착수 할 수 있도록 추진중에 있다.
도 관계자는 “31개 시·군 모든 지역에서 활발한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에 총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