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권단위 연계, 주거지종합적 관리/자료=서울시]
서울시가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1조원 규모의 재원마련하고, 장소중심의 맞춤형 재생사업을 위해 투자할 방침이다. 26일, 서울시는 서울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미래 도시주거재생 비전을 발표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재원 투자’ 및 ‘서울형 재생기구’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2년간 뉴타운 수습방안을 통해 실태조사를 하고 주민 뜻대로 많은 구역이 추진 또는 해제 진로를 결정하는 등 주민 갈등 해소에 노력해 왔지만, 공동체 회복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주거재생에는 지원과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통합적 개념의 도시주거재생을 통해 100년 후에도 서울의 정체성이 유지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것이 기본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먼저, 서울시는 면 개념의 생활권 단위 주거지를 종합적으로 정비·보전·관리, 사람·장소 중심의 활력 넘치는 삶의 터전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동안의 뉴타운·재개발이 점적인 구역별 사업추진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일자리, 지역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보전 등의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폭넓은 개념의 주거지 관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안전인프라, 공원 등 지역에 필요한 생활기반시설의 확충도 생활권 단위로 주거환경을 진단해 이뤄진다. 주거환경 진단은 주거환경의 안전성, 주거환경의 편리성, 주거생활의 쾌적성, 공동체의 지속성 등에 따라 평가하게 된다.
한편, 도시주거재생을 위한 재정투자 및 조직정비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4개년 동안 1조원 규모의 재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주택사업·도시개발·교통사업 특별회계 및 일반회계와 국고보조금을 통해 확보할 예정이다. 재원은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와 공동이용시설 확충 등을 통한 소외·낙후지역 정비 △성곽마을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의 보전 △전통시장 관리와 일자리 육성을 비롯한 경제 활성화 지원 등에 지원 투자된다. 이 때 시는 주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재생지원센터를 활용, 민간과 공공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소외·낙후된 지역을 정비하여 지역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각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서울다운 도시재생을 이루며, 물리·사회·경제적 통합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서울시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이라며 '시민 삶과 서울의 미래를 담는 통합과 공유의 재생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