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KT, 연세대와 손잡고 5G 오픈 플랫폼 출범

5G 원격의료, 실감형 공간디자인 등 연구 확대·융합서비스 발굴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8-12-06 16:11:38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KT와 연세대가 5G 오픈 플랫폼으로 연대 송도국제캠퍼스서 5G 스카이십 영상전송을 시연 중이다/자료=KT]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KT가 5G 상용망을 기반으로 원격의료, 재난안전 등 융합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플랫폼을 연세대와 함께 출범시켰다.

KT는 연세대학교와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Yonsei-KT 5G OPEN 2018’ 행사를 열고 5G 상용망 기반의 ‘5G 오픈 플랫폼’을 출범한다고 6일 밝혔다. 
  
5G 오픈 플랫폼은 10월 KT와 연세대가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구축된 5G 상용망 기반의 연구 플랫폼이다. 연세대 신촌 캠퍼스와 송도 국제캠퍼스를 KT의 5G 상용망 기반으로 연결한 5해당 플랫폼은 원격의료와 재난안전, 자율주행 등 다양한 5G 융합 서비스를 개발·검증할 수 있다. 
  
KT는 5G 오픈 플랫폼에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과 모바일 에지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5G 상용망과 연구 전용망을 분리하고, 서비스 카테고리별 네트워크 자원과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해 최적의 연구 환경을 제공한다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날 Yonsei-KT 5G OPEN 2018 행사에서 5G 오픈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공동연구 사례가 소개됐다. 연세대 PriMo-5G 연구그룹은 5G 네트워크 기반으로 송도 국제캠퍼스에 있는 KT 스카이십과 드론을 조종하고 해당 이동체에서 촬영한 고화질 영상을 송도 국제캠퍼스와 신촌 캠퍼스를 연결하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신촌 캠퍼스로 실시간 전송했다. 
  
KT와 연세대학교는 공동추진 중인 5G 사례 발표를 통해 원격 로봇시술 및 AR 기반 치과 보철시술 등 의료분야 연구사례와 공학, 생활과학, 실감형 공간디자인 등 산업분야까지 5G 시대 미래상을 제시하며 이번 플랫폼 기반의 여러 연구분야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 사장은 “KT는 연세대와의 5G 오픈 플랫폼 출범을 통해 5G 연구분야에 최적 연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5G 오픈 플랫폼을 기반으로 원격 의료 등 산학연 협력을 확대하고, 다양한 융합서비스 발굴로 5G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