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올 하반기 서울 성동구와 양천구에서 ICT 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가 가동된다.
성동구에 스마트폰을 보며 길을 걷는 스몸비족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바닥에도 LED 신호등이 있으며, 센서를 통해 음성으로 위험을 알려주는 ‘스마트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양천구에서는 독거노인의 고독사 방지를 위한 ‘스마트 플러그’ 설치가 추진된다. TV, 전등 등 실내 전력사용량을 감지해 일정시간 동안 전력사용량에 변동이 없을 경우 사회복지사에게 내용이 전송돼 신속한 방문 돌봄 서비스가 이뤄지도록 한다.
서울시는 성동구와 양천구를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첨단 ICT 기술로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로 첫 지정한다고 밝혔다.
31일 시에 따르면 총 17개 자치구가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1차 서면심사, 2차 발표심사를 통해 두 자치구가 선정됐다.
‘스마트시티 특구’는 스마트시티 신기술과 서비스를 시민의 생활현장에 집중 적용하고 관련 기업들은 기술을 실증·상용화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정하는 지역이다.
성동구는 교통·안전, 양천구는 복지·환경 분야의 지역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추진된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6억 원(시비 30억, 구비 6억)이 투입된다. 시는 통신망, 데이터 관리시스템 등의 자원을 지원한다. 자치구는 주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관리한다.
우선 성동구는 대표적으로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를 추진한다. 보행자는 정지선과 신호를 정확히 인지하게 되고, 자동차 운전자는 멀리서도 횡단보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돼 서행운전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천구는 ‘스마트 플러그’ 외에도 스스로 고장여부를 점검하고 IoT 통신망으로 관리업체에 신고까지 하는 ‘맞춤형 스마트 보안등’ 설치도 추진한다.
시는 스마트시티 특구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디지털 시민시장실이나 열린 데이터광장 등을 통해 시민과 기업에 공개할 계획이다. 신산업 서비스의 중요 아이템으로 재생산되고,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결정 자료로도 활용한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31일 오전 11시30분 서울시청에서 윤준병 행정1부시장, 정원오 성동구청장, 김수영 양천구청장 등과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 조성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