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시사터치

경기연구원 “GTX, 높은 요금·나쁜 접근성 해결해야”

“민자사업 전환으로 절감 된 2천 억, 지자체 부담완화에 쓰여야”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9-03-05 18:03:08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고속 광역급행철도망(GTX) 노선도/자료=경기도]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민자 사업으로 추진되는 GTX A노선에 향후 우려되는 높은 요금과 교통접근성 문제개선을 위해 정기 할인권 도입과 환승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경기도에서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GTX 2라운드의 과제와 해법’ 보고서를 5일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는 경기도가 제시해 국가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40m 이하 지하 깊은 곳에 건설하는 광역급행철도로, 일산에서 동탄까지 연결하는 GTX A 노선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3년 말 개통을 목표로 지난해 12월27일 착공식을 진행했다.

그러나 재정사업이 아닌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전환하며 높은 요금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BTO 방식의 민간투자사업은 민간투자비를 시민들의 요금으로 회수하기에 보통 요금수준이 높다. GTX A노선의 요금은 기존 광역철도나 버스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GTX에 대한 접근성의 어려움도 제기도고 있다. 서울도시철도의 역 간격은 1.1km인데 비해 GTX 역 간격은 7.2km로 촘촘하지 않아 승용차나 버스 등의 다른 교통수단을 통해 역에 접근해야 한다. GTX 역에 도착하더라도 승객들이 지하 40m의 승강장까지 오르내리는 데만 각각 5분씩, 총 10분 이상의 추가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사업비용을 줄이기 위해 GTX 노선을 다른 노선과 공용하는 것으로 계획하면서 배차간격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간대 서울도시철도의 배차간격은 평균 3분 4초인데 반해, GTX의 배차간격은 6분 이상인 것으로 전해진다.

박경철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부장은 “기존 철도에 비해 역간 거리가 긴 GTX의 성공을 위해서는 다른 대중교통수단과의 환승이 매우 중요하다”며 “GTX 역을 중심으로 광역환승센터를 구축하고 승용차 환승객을 위한 충분한 환승주차장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 방안으로 △정기적인 이용자(통근/통학)를 위한 정기 요금할인권의 도입 △고속엘리베이터 중심의 역내 수직이용자 동선 설계 △GTX역을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 환승체계 구축 △승용차 이용객을 위한 충분한 환승주차장의 공급 △다른 철도노선과의 선로혼용 재검토 등을 제안했다.

박 연구기획부장은 “국토부는 사업방식 변경을 통해 정부부담금을 2000억 원 이상 절감했다고 주장하나 이로 인해 사업초기 건설보조금은 약 3배 이상 증가했다”며 “증가한 건설보조금를 협상결과에 관여하지 못한 지자체에 분담 요구를 하는 것은 불합리하므로, 재정절감 2000억 원은 지자체 부담완화에 쓰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