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미세먼지 원인을 정확하게 증명하기 위한 항공관측이 실시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원인규명을 위해 오는 9일부터 한 달간 총 100시간(20회 비행)의 항공 관측을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관측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19인승 중형 항공기로, 한서대 태안비행장에서 출발해 서해상을 중심으로 미세먼지를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다.
그간 국립환경과학원은 1996년부터 소형 항공기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미세먼지를 관측해 왔다. 이번 항공 관측에서는 고해상도 실시간 분석 장비 9대를 탑재하고, 2차 생성 미세먼지의 주요 성분 등에 대해서도 과학적인 조사·분석을 실시한다.
또 미세먼지 전구물질에 대한 조사를 위해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에 대한 실시간 측정도 이뤄진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항공관측을 통해 서해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이동경로 추적이 가능하고, 미세먼지 유입량 계산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 미세먼지 배출원을 정확히 파악해 효과적인 감축정책과 예보 정확도 향상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항공관측 자료는 미세먼지 감축정책의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하고, 중국과의 협상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