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공공주도 가로주택정비사업 본격 추진

국토부·서울시·LH·SH ‘맞손’…가로주택정비사업 합동공모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20-03-12 11:23:45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12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 합동공모(국토부·서울시·LH·SH)를 실시한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종전의 가로구역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소규모로 정비하는 사업으로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사업과 달리 사업 절차가 간소화돼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다.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사업비 융자를 지원하고 있어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다.

서울시는 55개 조합이 설립돼 있고, 48개 구역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주민 의견을 수렴 중이다.

정부는 서울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위해 지난해 12월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공공성 요건 충족 시 가로주택정비사업 사업시행면적의 한도인 1만㎡를 2만㎡까지 확대하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10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17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체 세대수 또는 전체 연면적의 20% 이상을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경우 국토계획법에 따른 법적 상한 용적률까지 건축이 가능하며, 층수제한도 완화된다.

안정적인 사업비 조달, 견실한 시공사 선정 및 책임준공, 미분양 리스크 해소를 위한 공공의 매입확약 등으로 사업 위험요소도 낮출 수 있다.

또 이주비 융자금액도 종전자산 또는 권역별 평균전세가격의 70%까지 지원(3억 원 한도, 연 1.5% 이율)해 종전 자산 평가액이 과소한 토지등 소유자에게도 현실적인 이주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국토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LH에서 공공참여로 인한 사업시행면적 확대, 분양가 상한제 제외, 용적률·층수 제한 완화 효과 등을 가정해 서울시 내 가로주택정비사업지구의 사업성을 모의 분석한 결과 주민분담금은 평균 15%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시행 범위. 가로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시행/자료=국토교통부]

가로주택정비사업지 발굴 위한 합동공모

국토부와 서울시는 시행령 개정 등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업지 발굴을 위한 합동공모를 실시해 서울 도심 내 주택을 확충하고, 노후 주거지를 재생해 나갈 계획이다.

공모는 해당구역의 사업진행 단계에 따라 1, 2단계로 구분해 진행할 예정이다. 1단계 공모는 현재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이미 설립된 조합이나 조합 설립을 위해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지구를 대상으로 한다.

16일부터 31일까지 공공 사업시행자인 LH와 SH에 사전의향서를 제출하면 4월까지 1:1 맞춤형(소단위) 설명회 개최, 세부정보를 안내하고 개략적인 사업성 분석 등을 지원된다.

이후 5월11일부터 5월21일까지 공모신청서를 접수하고, 6월에서 8월까지 주민협의와 평가를 거쳐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2단계 공모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자 하는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올해 5월말 설명회를 개최해 구체적 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 상 장애요인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해 제도 개선을 추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인·허가를 지원하고 국토부와 협의해 제도개선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가로주택정비사업 #도시정비 #도시재생 #빈집활용 #합동공모 #공공주도 #소규모주택 #공공임대주택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